주식 동시호가 뜻, 적용시간 등 알아보기 본문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장종료 10분전에 그전까지 분주하게 움직이던 호가가 멈추는 것을 발견하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이를 '주식 동시호가 타임'이라고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주식 동시호가'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 시간에 주식매매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식 동시호가란 무엇인가?
주식 동시호가는 이름만 들어보면 얼핏 '정확히 같은 순간에 복수의 매수희망자에게 불려지는 호가'정도로 인식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주식 동시호가는 사실 "특정 시간대에서의 주식 매매 주문 시 가격 우선의 원칙만 적용되는 제도"를 지칭합니다.
설명이 조금 어렵지요? 일반적으로 주식은 가격, 시간, 수량의 기준원칙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같은 조건이라면 첫번째, 가장 높은 호가를 부른 매수희망자, 두번째, 조금이라도 더 빨리 매수를 신청한 매수희망자, 세번째, 한 주라도 더 많이 매수를 신청한 매수희망자 우선으로 주식매매거래가 체결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주식 동시호가 타임'에서는 두번째 기준과 세번째 기준인 시간과 수량에 대한 기준이 사라집니다. 오로지 가격으로만 주식매매거래 우선순위가 결정된다는 말이지요. 즉, '주식 동시호가 타임'에서는 조금 늦게 주식 거래를 신청해도 호가를 높게만 부르면 우선적으로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주식 동시호가의 시간은 08:00~09:00, 15:20~15:30 까지입니다.
2. 주식 동시호가는 왜 필요한가?
일주식 거래는 장시작 시간과 장마감 시간에 급격하게 몰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거래가 급격히 몰리는 시간에는 앞 서 설명한 시간의 원칙을 정확히 지키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게다가 시초가와 종가를 결정하는데 논란이 발생할 여지가 있습니다. '주식 동시호가' 제도는 이러한 기술적 어려움을 해결해 줍니다. 오로지 가격에만 의존하여 거래를 성사시킴으로써 장시작 시간과 장마감 시간의 분주함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